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몇가지 조건 중 하나는 자발적 퇴사가 아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자발적 퇴사 이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 예외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질병, 병간호 등으로 자발적 퇴사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아웃 됐을 때, 에너지 끌어 올리는 법 5가지, 예방과 대처법 알바 그만둘 때 문자 보내는법, 전화 하는 방법 요령 꿀팁 1. 병간호 등으로 인한 퇴사시 실업급여 수급 가능할까? 예외적인 사유 가운데, 임금체불이나, 30일 이상 동거 친족을 간호해야할 경우, 휴가나 휴직 허용이 불가하다면, 이와 관련된 자료를 함께 제출하면 됩니다. 이와 관련 된 서류는 글 하단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

실업급여 출퇴근 거리로 퇴사가 가능한가요? 출퇴근 시간, 얼마나 걸리시나요? 기숙사 사시는 분들은 얼마 안걸수도 있고, 출근길이 불편하신 분들도 꽤 많습니다. 내가 다니는 회사가 이전했거나 부서 이동으로 다른 곳으로 발령이 난 경우 퇴사를 해야될 만큼 출퇴근 거리가 길어지면, 이사를 고려할 수도 있지만 이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니기가 힘들고 부담스러워 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Q1. 출퇴근 거리가 너무 길어서 그런데 이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답을 하기에 앞서 여기서 잠깐!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실업인정을 받아야 합니다. 실업인정을 충족하려면 몇 가지 요건에 부합해야 하는데요. 실업급여 조건 4가지 1. 고용보험 180일 가입 조건 - 휴일 빼고 근무일을 기준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

직장내 괴롭힘으로 퇴사할 경우 실업급여 수급 여부 직장 내 괴롭힘으로 퇴사할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고용보험법 시행규칙이 개정됨 -> but -> 5인 미만 사업장은 안됨 -> 직장 내 괴롭힘으로 퇴사해도 5인 미만이라 실업급여도 못받음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은 5인 미만 사업장인 경우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인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시행된지 약 2년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법이 있는지 아는 사람은 얼마 없으며, 여전히 직장 내 갑질, 괴롭힘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갑질 119(노무사 및 변호사 등 노동전문가들이 만든 시민단체)이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 유형은 5가지로 나눠..

실업급여 신청할 때, 상용직 + 일용직 근무 했다면 수급이 가능한가요?? 상용직 및 일용직을 근무한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를 보기전에, 수급자격요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예상금액 조회결과, 받을 수 있는 기간 계산 바로가기 실업급여 수급자격요건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최종 직장의 이직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 일것 (계약만료, 해고, 폐업 등) 근로의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하는 경우 그런데 상용직, 일용직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뭔가 다를 수도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먼저, 상용과 일용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피보험단위기간을 산정할 때 합쳐서 계산이 가능합니다. 최종 직장이 일용직인 경우 1) 또는 2) 여야 신청이 가..

4대 보험 미가입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불가능 한가요? 4대보험을 납부하지 않고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하려면, 그전에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수급자격은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데요. ① 이직일(최종사업장의 마지막 퇴사일) 이전 18개월간(기준기간) 고용보험 가입 후 180일 이상 근무해야 함 (휴무일 제외) ② 부득이한 사유로 인한 비자발적 퇴사이어야 함 ※ 단, 자발적 퇴사라도 법으로 정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인정 됨 ▶실업급여 예상조회 계산기 바로가기 실업급여 수급자격 요건 확인하기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4대보험 가입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업급여 수급자격 요건에 모두 부합하는지 부터 보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위 수급자격 요건에서 ..

실업급여란? 회사에 재직하여 고용보험을 낸 분이라면 실직*하였을 때, 다시 취업할 때까지 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실업된 기간 동안 생계가 불안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급여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아무때나 신청해서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퇴직일 부터 1년 안에 신청해야만 신청하실 수 있는 것이라서 퇴직을 하시기 전에 자격요건이나 제출서류, 과정 등을 알아보신 후에 바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실업급여는 1가지가 아니라 4가지로 분류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많이 신청하는 구직급여에 대해서만 다뤄보려 합니다. 실업급여 4종류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연장급여 상병급여 1) 구직급여 ①구직급여가 결국 우리가 말하는 대부분의 실업급여일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