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부작용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받아 피해보상을 받는 환자도 있지만, 인과성이 충분하지 않은 환자는 의료비를 어떨게 해야 할까요? 정부는 인과성이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지원대상, 이상반응 피해보상/인과성 불충분 환자 의료비 지원과의 차이점, 지원범위, 지원금액, 지원절차(방법), 추가 피해보상 등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 [목차] 1.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의 대상 2.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피해보상과 3.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후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의 차이점 4.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범위/지원금액 5.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 절차는 6.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

백신 부작용 이상반응 신고 방법, 「예방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알기 [글의 순서] 백신 부작용 이상반응 신고 방법, 「예방접종 피해 국가 보상 제도」알기 - 우리나라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접종 순서 / 접종 시기 / 백신 종류별 특성 / 백신 이상반응) 1. 이상반응이란? 2. 국가별 코로나19 백신별 주요 이상반응 3. 이상반응, 증상 완화 방법 4. 예방접종 이상반응 신고방법 5.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10월 28일 추가 업데이트) 우리나라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이상반응 신고 또는 대처방법에 앞서 백신 접종 관련 현황에 대해 먼저 알아봅니다. 접종 순서 우리나라 백신 접종은 우선순위를 매겨서 중증이나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감염취약군을 가장 먼저 선별하여 접종을 시작하였습니다. 아래..

급하게 적다보니, 약간 두서없이 적은 점 양해바랍니다. 모더나, 화이자 뭘 맞으면 좋을까? 두 백신의 차이점 및 부작용 비교(심근염, 심낭염) 50대 미만(49세~)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를 제외한 화이자와 모더를 맞게되는데요. 최근 화이자도 심근염이라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해서 화이자도 연령을 높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반응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화이자와 모더나는 기전과 용법이 동일하지만, 연령별 효과와 중증* 사례가 다릅니다. *중증이란: 위험한 병의 증세를 말합니다. 두 백신은 mRNA백신(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으로 2021년에 국내에서 허가를 받았습니다. 백신종류 화이자 모더나 mRNA BNT162b2 mRNA-1273 모더나 및 화이자는 mRNA백신으로, 코로..